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염증 유전자 설계도

by 염증 전문블로거 2025. 5. 2.

염증 유전자 염증은 병원체, 독소, 조직 손상 등 외부 자극에 대한 방어 반응이며, 이 반응은 세포 내 염증 유전자의 활성화로 시작됩니다. 염증 유전자는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수용체, 효소 등 염증 반응에 필요한 물질의 생산을 조절하는 DNA 정보로, 전사인자의 신호에 따라 발현됩니다. 정상적인 면역 반응에서는 빠르게 작동하고 다시 억제되지만, 이 조절이 무너질 경우 만성 염증과 질병으로 이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염증 유전자의 종류, 조절 메커니즘, 발현 경로, 질환과의 연관성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염증 유전자 정의

염증 유전자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입니다.

이 유전자들은 세포 외부 자극이 있을 때 전사인자(NF-κB, AP-1, STAT 등) 에 의해 활성화되며, 염증 반응의 핵심인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효소, 수용체 등의 생성을 유도합니다.

사이토카인 유전자 면역세포 활성화 및 신호 전달 TNF, IL1B, IL6
케모카인 유전자 면역세포 유도 및 이동 CXCL8, CCL2
염증 효소 유전자 염증 증폭, 산화 스트레스 조절 PTGS2(COX-2), NOS2(iNOS)
수용체 유전자 자극 감지 및 신호 전달 TLR2, TLR4, NLRP3
조절 인자 유전자 염증 억제 또는 해소 IL10, SOCS3

염증 유전자의 조절 여부에 따라 면역 반응의 세기, 지속 시간, 회복 속도가 결정됩니다.


염증 유전자 주요

염증 유전자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유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TNF TNF-α 단백질 급성 염증 유도, 세포사멸 신호 전달
IL1B IL-1β 단백질 발열, 면역세포 활성화
IL6 IL-6 단백질 급성기 단백질 생성, B세포 분화 유도
CXCL8 (IL8) IL-8 단백질 호중구 유인 및 활성화
PTGS2 (COX-2)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효소 통증, 부종, 염증 반응 확대
NOS2 iNOS 단백질 질소산화물(NO) 생성, 항균 작용
NLRP3 인플라마좀 구성 요소 IL-1β 성숙화 및 방출 조절
IL10 IL-10 단백질 항염증 작용, 면역 억제 유도

이들 유전자는 자극 후 수분 내에 빠르게 발현되며, 지속될 경우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염증 유전자 조절 경로

염증 유전자 전사인자의 활성화에 따라 발현됩니다. 대표적인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NF-κB 경로 TLR 등 수용체 자극 → IκB 분해 → NF-κB 핵 이동 TNF, IL1B, IL6, COX-2
JAK-STAT 경로 사이토카인 수용체 자극 → STAT 인산화 → 핵 이동 IL6, SOCS3, IL10
MAPK 경로 스트레스 자극 → p38/JNK 활성 → AP-1 전사 유도 MMPs, IL8
NLRP3 경로 세포 손상 인식 → 인플라마좀 조립 → IL1B 활성화 IL1B, IL18

이러한 신호 전달 체계는 자극의 강도와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정밀하게 염증 반응을 조절합니다.


발현과 후성

염증 유전자 발현은 후성유전학적 조절에 의해 강화되거나 억제되기도 합니다.

DNA 메틸화 유전자 프로모터 차단 → 발현 억제
히스톤 아세틸화 염색질 열림 → 유전자 발현 촉진
miRNA mRNA 분해 또는 번역 억제

예를 들어, miR-146a는 NF-κB 경로를 음성 조절하여 TNF, IL-6 등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염증을 해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질환의 연관성

염증 유전자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 조절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TNF, IL1B, IL6 관절 내 염증 지속, 연골 파괴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IL6, IL17, NLRP3 장 점막 염증, 사이토카인 폭발
천식 IL4, IL5, IL13 과민 반응, 호산구 활성화
루푸스(SLE) IFN 관련 유전자, TLR7 자가항원 인식, 지속적 면역 활성화
COX-2, IL6 만성 염증 → 세포 돌연변이 유도, 종양 미세환경 조성

염증 유전자 발현의 조절 실패는 단순한 면역 이상을 넘어 조직 손상, 대사질환, 심지어 종양 발생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분석과 치료 응용

염증 유전자는 진단, 예후 예측, 맞춤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자 발현 분석 RT-PCR, 마이크로어레이로 염증 지표 측정
바이오마커 개발 IL6, CRP, TNF 발현량으로 질환 예측
유전자 편집 CRISPR-Cas9 기술로 염증 유전자 억제
miRNA 기반 치료 특정 염증 유전자 조절 RNA 치료제 개발
항전사인자 치료제 NF-κB 억제제, JAK 억제제 (예: 토파시티닙) 사용

정밀의학의 발전으로 염증 유전자를 타깃으로 한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요약

염증 유전자 외부 자극에 대한 생물학적 대응을 설계하고 조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유전자의 정밀한 발현 조절은 급성 면역 반응의 효과성을 높이고, 만성 염증으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조절에 실패하면 다양한 만성 질환의 뿌리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염증 유전자의 발현 기전과 조절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은 현대 면역학과 의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이며, 미래 치료 전략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